후숙
흑백영화 속
주인공은 왜 자꾸 도시를 헤매는 걸까 이제는 사라지고 없는
볏짚이 탄다 잉걸불이 인다 불씨는 자기를 새라고 불러주는 사람을 만나면 새라고 믿고 날아가, 연기를 꿰어 노래를 만들었다
찻집이 모여 있는 골목을 지나면 공방이 나왔다 손으로 뜬 수세미와 골무를 보고 있었다 옷걸이 모양대로 빨래가 말라 있었다 부들부들했다 멀미가 났다 빚어서 만든 찻잔과 식기들
주인이 웃으며 바라봤다 다음 주에 전시회가 있으니 꼭 오라고
풀려버리고 난 후에도 스웨터의 모양을 기억하는 털실처럼
나는 다시 오지 않을 이 도시에서 약속을 하고
오후라고 말했다 비라고 말했다
수요일이었다
돌아오는 기차 안에서
사람들은 창 너머를 뚫어져라 보고 있었다 어둠과 더 짙은 어둠이 빠르게 지나갔다 붓 끝을 털거나 손끝으로 밀어서 그린 듯 흘러내렸다
숲은
우는 사람의 옆모습을 닮아 있었다
눈이 쌓이고 난 후의 흰빛이 음악이 된다고 믿었다 눈은 내리고 오래지 않아 더러워 보였다 나는 거기까지를 눈이라고 불렀다
이제와 미래
분갈이를 할 때는
사랑할 때와 마찬가지로 힘을 빼야 한다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장마였다 올리브나무가 죽어가고 있었다 나는 무엇을 잡아두는 것에는 재능이 없고 외우던 단어를 자꾸만 잊어버렸다
잎이 붉게 타들어간 올리브나무는 방을 정화하는 중이라고 했다 흙에 손가락을 넣어보면 여전히 축축한, 죽어가면서도 사람을 살리고 있는 나무를, 나는 이제라고 불러본다 흙을 털어낸다 뿌리가 썩지 않았으면 다시 자랄 수 있을 거라고 믿었다
이제야, 햇볕이 든다
생생해지며 미래가 되어가는
우리는 타고나길 농담과 습기를 싫어하고 그 사실을 잊어보려 하지만
이미 건넜다 온 적 있지 뿌리를 넘어 줄기를 휘감아 아주 날아본 적
양지를 찾아다녔다
산에서 자라는 나무의 모종 하나를 화분에 옮겨 심으면 야산의 어둠이 방 안에 넝쿨째 자라기도 한다는 걸
진녹색 잎의 뒷면이 바스러졌다
시든 가지에도 물을 주면 잎새가 돋았다
공통감각
과천역에 내렸다 우리 서울대공원에 가려고 한 거다
동물원은 닫혀 있었다
철창 위로 올라가면
어둠 속에서 빛이 떠오르는 걸 볼 수 있었다
그것이 짐승의 눈인지
깨진 알인지 한참을 바라보았다
철창 밖의 동물원 슬픔도 없는 식물원
우리를 열면 슬금슬금 기어 나오는
사랑이라는 말을
다른 언어로 말해보려고 했다
나 다른 게 될 수 있을까
밀알 하나가 굴러와, 구린내를 풍기며 굴러와, 나를 가로질러 굴러와
나는 내가 아닌 누군가를 위해 태어난 것 같아
하나가 울면 다른 하나가 따라 울고
사방에서 울음소리가 섞여 들렸다
깃털이 날렸다
아름답다고 말하고 나면 사라지는
내 옷깃을 잡아당겼다 언제나 네 손가락은 축축하고
약속이니까
잘하자 꼭 하자
같아 보이는 웃음이어도
몇 번이고
다르게 말해볼 수 있는 뒷모습이었다
첫차를 기다리며
땀을 흘렸다
커다랗게 입을 벌렸다 다다르려면 아직 한참 남았다고 했다
물색
나는 오후 네 시와 깨진 유리컵 사이에 걸쳐 있다
혼자 울고 혼자 그치는
커튼은 타오른다
이끼가 파랗게 눕고
비 냄새가 난다
햇볕은 나를 가로막고, 끌어안으며 밀어낸다
바깥을 거둬들인다
더 깊어지는 안쪽을 들여다본다
나라고 믿고 싶은 것과
그 속삭임을 깨부수고 싶을 때
컵에 맺혀 있던 물방울이 흘러내린다
노래를 부르면서
나를 젖게 하는 말은 이미 내 속에 있다고
이제는 헤아리지 않으려고 해
밖은 풀어진다 안은 입술을 달싹인다
주름을 늘인다
커튼은 가슴을 쳐 가슴이 어디 있는지 알지 못한 채
가슴을 쳐
들이켜고도 남아 있는 혼잣말을 바라보면서
아무도 쳐다봐주지 않은 풍경과
누구의 얘기도 될 수 있는 중얼거림이
부딪히고 껴안고
음악을 끄집어낸다 더 작은 흥얼거림
커튼은 흩날림을 숨기고 싶어도
숨길 수 없고
떠다니는 먼지를 본다
너도 내가 싫으니
맨손체조를 하듯이
무릎을 바짝 펼 때 무릎이 거기 있다는 것
거짓말이, 복숭아뼈가, 팔꿈치가
무사하다는 것
커튼은 어디에 매달려도 커튼
매달리지 않아도
바람이 위로해도 커튼, 찢어진 커튼
누군가는 눈동자 모양의 유리창을 상상하고
깨부수고
그 위로 걸어가고
걷잡을 수 없이 불어간다
커튼은 늘 날리는 자세 털어버리는 모양
안팎을 내맡긴다
일주일 뒤에는 실을 주문해야겠지
망가진 책들을 끌어안고 졸면
주인공과 똑같은 토요일을 맞게 될 거라는 미신이 있어
사서는 모로 누운 문장들을 일으켜보려고 하고
반납 일자가 밀린 사람들에게
전화를 돌린다
이마에 검은 덤불이 스친다구요
다리를 접질려 속옷이 다 젖으셨다구요
귓불과 혀에 돋은 검은 비늘들
작은 관처럼 양장본은 어두워지고
사서는 실에 기름칠을 한다
먼지를 털어낸다
굵은 실과 얇은 실을 고른다
타고 남은 심지 냄새 마른 풀 냄새
헐구워진 구멍을 메꾼다
손가락에 굳어 있는 본드를 앞니로 떼어낸다
찢긴 책은 아름답지
찢겨진 후에도 책으로 남아 있으려는 종이의 선택이
정각에 오세요 선생님
문장을 끌어안고 책등 위에서 뛰어내려보세요
글자의 문을 열고 걸어 나가세요
박스 안에는 귤이 서서히 곰팡이를 받아들이고 있다
흰 곰팡이 초록 곰팡이
반납 일자를 고치며 내일 올 사람들의 얼굴을 떠올린다
창가에 젖은 책들을 세워둔다
입을 벌리고 흰 뼈마디를 길게 늘이는 책들
두꺼운 책은 창가 가까이, 작고 얇은 책은 멀리 떨어져서
조금씩 말라간다
작당
적당한 펭귄을 찾아다녔다
가장 펭귄에 가까운 펭귄을
카메라를 들고 있으면 펭귄들이 몰려와 갸웃거렸다
너의 한 뼘과 나의 한 뼘이 다르다는 것
그것을 이해해보려고 할 때도
너는 꼬리에 노란 깃을 묻힌 펭귄이 좋겠다고 했고
나는 빙판 끝에서 주저하는 펭귄을 찍자고 했다
앞서는 너의 보폭을 따라잡으려고 했다 미끄러웠다
바닥이 조금씩 갈라지고 있었다
웅크려서 신발에 묻은 펭귄 똥을 눈에 문질렀다
우리는 언제부터 서로를 닦고 있게 된 걸까
빌려주지도 않은 접시를, 첫눈을 찾으러
내가 갔잖아
알을 깨고
네, 제가 바로 그 펭귄입니다
짐짓 설명하려는 펭귄
보온병에 국물을 따랐다
네가 밥을 먹을 줄 안다는 것이
내 입에 단 것이 네 입에도 달다는 것이 신기해
읽어보려고 애를 썼다
튀어 오르는 솟아나는
펭귄들은 모두
알 대신 돌을 품고 있었다
말할 것들과 믿어온 것들 모두
의심하면서
그저 건너볼 수밖에
나는 내가 했던 말들을 무르고
너와 나는 눈을 감고 서로의 얼굴을 만져본다
볼록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
너는 눈물을 흘렸다
아무리 더듬어도 되어볼 수 없는
검고 미끄러운 것이었다
적당한 펭귄과 끝 간 데 없는 펭귄
오,
하고 입을 동그랗게 말아보았다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오르크 트라클 - 심연에서 (0) | 2021.06.20 |
---|---|
게오르크 트라클 - 숲의 막다른 곳 (0) | 2021.06.20 |
게오르크 트라클 - 가을 (0) | 2021.06.20 |
게오르크 트라클 - 악의 꿈 (0) | 2021.06.20 |
게오르크 트라클 - 폭풍 치는 저녁 (0) | 202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