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내는 극장을 좋아한다. 거기 팝콘도 음료수도
거기 의자에 앉아 있는 것도. 아내는 아이처럼 기뻐하고
나는 아내가 기뻐하니 그것으로 족하다.
하지만 나는 다른 별 출신.
굴을 파고 혼자 숨어 지내는
다른 삶을 사는 두더지.
가깝고 먼 곳에서 북적대는 사람들은
내게 불쾌감을 유발한다. 바보 같지만(어쩌면)
그것이 진실이다.
암전이 되고 거대한 인간의 얼굴과 몸뚱이가
스크린을 돌아다니며 말하는 것을
우리는 경청한다.
100편의 영화 중 훌륭한 영화 하나, 괜찮은 영화 하나
나머지 아흔여덟 편은 아주 시시하다.
대부분의 영화들은 나쁘게 시작해 점점 더
나빠진다.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대사가
그럴듯하다면
씹고 있는 팝콘에도 어떤 의미가 있다는
말조차
그럴듯할 것이다.
(사람들은 하도 영화를 많이 봐서
어쩌다 나쁘지 않은 영화를 보면
걸작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아카데미상은 너는 네 사촌처럼 형편없는 건
아니라는 증표일 뿐.)
영화가 끝나고, 거리로 나가 차를 향해
움직일 때 아내가 말한다. "사람들 말처럼
그리 재밌지는 않네."
"응." 나는 말한다. "별로야."
"그래도 괜찮은 장면이 좀 있더라." 아내가 대꾸한다.
"응." 나는 대답한다.
우리는 차에 도착해 올라탄다. 나는 차를 몰아 함께
그곳을 빠져나간다. 우리는 밤 풍경을 둘러본다.
밤은 바라보면 흐뭇하다.
"자기 배고파?" 아내가 묻는다.
"응. 자기는?"
우리는 신호에 걸려 멈춘다. 나는 빨간불을 바라본다.
저 빨간불이라도 먹고 싶다. 뭐든. 이 공허함을
채울 수 있다면 뭐든. 대다수 생명체의 실상보다
형편없는 것을 만들어 내는 데 수백만 달러가
쓰이고 있다. 지옥 체험에 입장료를 내서는
안 된다.
신호가 바뀌고 우리는 탈출한다.
앞으로 전진.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스 부코스키 - 교체 (0) | 2021.03.27 |
---|---|
찰스 부코스키 - 지옥은 닫힌 문이다 (0) | 2021.03.27 |
찰스 부코스키 - 면도날 같은 낮, 쥐들이 들끓는 밤 (0) | 2021.03.27 |
찰스 부코스키 - 이 시대의 톱 배우 (0) | 2021.03.27 |
박승열 - 프레스 외 2편 (2018 하반기 현대시 신인추천) (0) | 2021.03.26 |